RFM 분석
RFM 분석이란
RFM은 Recency, Frequency, Monetary 세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고객의 가치를 평가하고 고객은 등급화하여 여러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목표로 한다.
Note
Recency(최근성): 고객이 얼마나 최근에 상품을 구매했는가? 최근 구매한 고객일수록 높은 가치로 평가.
Frequency(빈도): 고객이 얼마나 자주 상품을 구매했는가? 자주 구매한 고객일수록 더 높은 가치로 간주됨.
Monetary(금액): 고객이 상품 구매에 얼마나 많은 돈을 썼는가? 높은 금액을 사용한 고객일수록 가치가 높은 고객으로 간주됨.
RFM 분석을 통해 고객 분류
Recency, Frequency, Monetary 항목에 등급 부여하기
- 등급을 매길 때는 보통 도메인 지식을 활용해 구간을 설정한다.
- 뚜렷한 방법이 생각나지 않을때는 구간의 길이를 똑같이 나누거나, 임의의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도 있다.
등급의 조합을 통해 세그먼트 나누기
-
나뉘어진 등급을 통해 구간별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.
- 모든등급이 높은고객은 VIP 고객이므로 집중 관리를 들어가고.
- FREQUENCY 가 높은 고객은 어떤 상품을 집중적으로 사는지 보고 해당 상품과 시너지가 높은 상품을 광고에 띄운다던지 이런 전략을 세워볼 수 있겠다.
-
고객지표를 가중합으로 구해 세그먼트 나누기
- 3개의 고객지표를 합산하여 총 점수를 나타내는 FRM 지표에서 각 산업에서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있을 것 이고 해당 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더욱 차별화된 고객 분류를 하는 방법이다.
- 전자기기, 가전제품 등과 같은 상품의 경우 (집에 TV를 계절마다 바꾸는 일이 없으니..) Recency (고객이 얼마나 최근에 구매를 했는가?) 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.(이번에 제품을 샀으니 당장 같은 상품을 구매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.) 그리하여 Monetary 항목에 가중치를 주어 고객을 분류 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.
Note
그렇다고 해서 Recency를 등한시 해도된다는 뜻은 아니다. 신혼집의 경우 이번에 냉장고를 샀으면 다음에 TV를 보러올 가능성도 있으니..
-> 분류된 고객 세그별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